데이터 통신/네트워크
[네트워크] DTP 개념 및 설정 방법
Haekt
2022. 12. 1. 21:43
DTP(Dynamic Trunk Protocol) 란?
Dynamic Trunk Protocol 의 약자로, VLAN 이 적용된 스위치의 특정 인터페이스 모드와
Trunking Protocol 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토콜이다.
Cisco 장비에서는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종류은 2가지로 나뉜다.
- DTP-Auto
- DTP-Desirable
* Duplex 전송방식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DTP-Auto
소극적 협상으로, 상대편이 trunk 또는 Desirable 이 아닐경우 Access 로 설정된다.
L2 스위치에서 기본값이며, Access 친화적이다.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특정 인터페이스에 접속 후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dynamic auto
DTP-Desirable
적극적 협상으로, 상대편이 Access 가 아니라면 Trunk 로 설정된다.
L3 스위치에서 기본값이며, Trunk 친화적이다.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특정 인터페이스에 접속 후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dynamic desirable
DTP 연결과정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