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네트워크
[네트워크] Trunking Protocol
Haekt
2022. 12. 2. 19:42
Trunking Protocol
Trunking Protocol 은 스위치간의 vlan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으로, 종류는 두가지가 있다.
- ISL
- 802.1Q(dot1q) (기본 설정)
ISL
Inter-Switch Link 의 약자로, CISCO 전용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이더넷 프레임에 VLAN 정보를 덧붙여서 Encapsulation(캡슐화) 한다.
ISL 헤더 26byte + ISL CRC 4byte 를 붙여 프레임의 크기가 총 30 byte 증가한다.
-이외의 특징
- 오직 L3 장비에서만 지원
- dot1q에 비해 다소 복잡한 프로토콜이다.
- dot1q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버헤드가 있다.
802.1Q(dot1q)
표준으로 되어있는 프로토콜으로, 프레임에 VLAN 태그 4byte 가 추가로 붙는다.
-이외의 특징
- L2, L3 장비에서 지원한다.
- ISL에 비해 다소간단
- ISL에 비해 오버헤드가 적다.
- 네이티브 Vlan 사용
* 네이티브 vlan은 Trunk Port 로 전송시, vlan 표시를 하지 않는다.
Trunking Protocol 변경 방법
프로토콜 변경은 특정 인터페이스에 접속한 후 아래 방법으로 변경한다.
//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isl>
// 해당 인터페이스의 trunking 프로토콜을 dot1q 로 설정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 구버전 CISCO 패킷 트레이서에서 실습하는 경우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