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 인공지능
- dreamhack
- AI
- Repository
- cmd
- Screening Router
- 암호학
- 머신러닝
- bastion host
- STP
- abex'crackme
- CISCO
- AWS
- 머신러닝 프로세스
- docker
- Firewall
- Reversing
- 라우터
- Mac
- 크롤러
- 온프레미스
- 리버싱
- 스위치
- Python
- RIP
- vector
- 자바
- vlan
- 네트워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91)
Haekt‘s log

패치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왼쪽 상단의 파일탭을 눌러 해주면 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창 하나가 뜨고, 자신이 패치한 내용이 뜬다. 파일 패치를 눌러준다. 패치한 파일의 이름을 정해주고 확장자까지 .exe 로 바꿔서 저장한다. 끝!

-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의 종류는 3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1. Sass : 서비스형 인프라 - 기본 빌딩 블록으로, 기본 네트워크 기능과 가상컴퓨터 또는 전용컴퓨터의 엑세스 , 스토리지를 제공함 ex) 구글드라이브 2. PaaS : 서비스형 플랫폼 - 인프라가 자동화 기능으로 관리되어, 프로비저닝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 관리하는데에만 집중이 가능 ex) Google App Engine 3. IaaS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인프라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으므로 , 어떻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지 만 생각하면 됨. ex ) 웹 기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 AWS 아래는 위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이해하기 쉽게 풀은 것이다. - 클라우드 배치모델은 아래와 같이 나누어진다. 1. 클라우드 기반 애..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사용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하거나 , 프라이빗 네트워크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API 상호작용 요청 및 응답에 대해 XML 또는 Json 과 같은 표준화된 형식을 사용한다. -> 서버 요청과 응답에 표준화된 형식을 사용한다. * API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의 약자로 ,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이다. ( 컴퓨터 소프트웨어 ) 표준화된 형식을 사용하다 보니, 운영체제 상관없이 모두 작동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를 웹 서비스로 개발하면 주고받는 데이터셋을 제외한 나머지를 프로비저닝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프로비저닝 : 시스템의 자원을 배치, 배포 해 두었다가 필요할때 즉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것

cmd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유저를 생성해 줍니다. net user 계정명 비밀번호 /add ex) net user student 12345 /add 사용자 계정을 어드민 그룹에 추가하여 권한을 부여해 줍니다. net localgroup 그룹계정 사용자계정 /add ex) net localgroup administrtors student /add 이제 새로운 계정으로 로그인해 봅시다.!

1707~1783 년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만든 함수로, p(n) 는 1 부터 n 까지의 정수중 n 과 서로소인 정수의 개수를 뜻한다. ex) p(4) = 2 : 1 3 자신과의 서로소 1 ,3 -> 2개 n이 소수일때 아래의 공식이 성립 p(n^x) : n^x - n^(x-1) 만약 p(20) 과 같은 소수가 아닌 수가 나올 경우. p(2^2) * p(5) 처럼 소수로 바꾸면 공식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더 쉽고 빠르게 풀 수 있다. ex) p(2^2) = 2^2 - 2 = 2 p(7) = 7^1 - 7^0 = 6 p(252) = p(2^2) * p(3^2) * p(7) = ( 4 - 2 ) * ( 9 - 3 ) * ( 7 - 1 ) = 72
이 포스팅은 관용 암호 방식중 아래의 부분을 설명할 것이다. 시프트 암호법 단순 환자 암호법 Addine 암호법 - 시프트 암호법 shift 암호법 이란 ? 알파벳을 정해진 횟수만큼 밀려서 쓰는 방식으로, 3번을 밀려 쓰게 되면 A 가 D 가 되는 방식이다. 가장 초기에 사용했던 암호법으로 간단하고, 알아보기는 쉽지 않으나, 시프트 간격에 26가지 알파벳을 다 대입하여 알아보는 소모적 공격에는 아주 취약하다. - 단순 환자 암호법 단순하게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어 암호화 하는 방식으로, 26가지의 알파벳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무작위로 입력하여 암호화 하는 방식이다. a = j , b = c , c = e , d= k , e = f ... p = h ... l = n ... z = l 위와 같이 알파벳에 ..

페이지 폴트를 알기 위해서는 메모리를 관리하는 기법인 페이징을 먼저 알아야한다. - 페이징 페이징 기법은 컴퓨터가 메인 메모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 즉, 가상 기억장치를 모두 같은 크기의 블록으로 편성하여 운용하는 기법이다. 이때의 일정한 크기를 가진 블록을 페이지라고 한다. - 페이지 폴트 페이지 폴트는 메모리에 적재된 페이지중에 사용 페이지가 없을 때를 가리킨다.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으나, 대체로는 빈 페이지가 하나도 없거나, 미리 정한 수보다 적을 때 발생한다. ** 만약 페이지 폴트가 발생했을 경우, 컨트롤 레지스터의 CR2 레지스터에 페이지 폴트가 발생한 부분의 선형 주소가 저장된다. - 관련 레지스터 CR0 ..
- TEST EAX, EAX 왜 쓰는걸까? TEST 는 비교 AND 연산을 해 주는 역할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그럼 EAX, EAX는 같은 것을 비교하는 것이므로 항상 참만 나오는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TEST EAX, EAX 는 EAX에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부분이다. - 설명 TEST 는 1 피연산자와 2 피연산자를 AND 연산하여 EAX 에 값이 있으면 참을 내놓는다. AND 연산은 두 피연산자가 참으로 대응될 때에만 참이 나오기 때문에, 하나라도 0 이 있다면 거짓을 내놓게 된다. TEST EAX, EAX 는 두 피연산자가 동일하므로, EAX 에 값이 없을 경우 거짓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TEST 는 거짓( 0 ) 이 나올경우 ZF ( zero flag ..

기억장치 관리 배치 전략은 3가지가 존재한다. 최초적합( first-fit ), 최적적합( Best-fit ), 최악적합 ( Worst-fit ) - 최초적합 (First-Fit) : 주기억 장치에서 저장할 수 있는 첫번째 공간에 배치하는 방법. 운영체제가 저장된 부분의 다음 부분이 시작부분이다. 고민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장 결정력이 빠름 - 최적적합 (Best-Fit) : 주기억장치의 공백중, 가장 *내부 단편화가 많이 일어나지 않는 부분에 배치하는 방법. 가장 잘 맞는 공백을 찾아야 하므로, 결정력이 느림. - 최악적합 (Worst-Fit) : 주기억 장치중 가장 *내부 단편화가 큰 공간에 배치한다. 가장 잘 맞지 않는 공백을 찾아야 하므로, 결정력이 느림. 단편화 (Fragmentation) : 저..

codeup c언어 기초 100제 1010번 int 로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값을 받아서 출력하는 식을 구한다. int a로 변수를 선언하고 scanf로 변수의 값을 입력 받아준 후 printf로 출력한다. codeup c언어 기초 100제 1011번 이전과 다르게 이번엔 정수형이 아닌 문자형으로 변수를 선언한다. char a 로 변수를 선언해주고, scanf로 변수값을 받아준 후 printf로 출력하여준다. codeup c언어 기초 100제 1012번 이번엔 실수형으로 변수를 선언해준다. double형은 실수형으로 %LF(longfloat)를 사용한다. codeup c언어 기초 100제 1013번 이번엔 변수를 두개 선언해서 , 입력도 두개로 받아서 출력하는 문제이다. int 변수 선언시 , 로 구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