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버싱
- Repository
- 머신러닝 프로세스
- 라우터
- AI
- 암호학
- STP
- 머신러닝
- RIP
- Firewall
- bastion host
- vlan
- CISCO
- docker
- Reversing
- Mac
- Screening Router
- abex'crackme
- 크롤러
- dreamhack
- Python
- 온프레미스
- 인공지능
- cmd
- 네트워크
- AWS
- Java
- vector
- 자바
- 스위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91)
Haekt‘s log

보기 전에 알아야 할 것 ! 먼저 포인터를 사용하기 위한 기호들을 알아보자. 포인터를 사용하기위해 쓰는 기호는 두가지가 존재한다. * 와 & 이다. 먼저 * * 위의 기호는 애스터리스크라고 하며, 포인터 변수를 선언할 때와 포인터 변수를 사용할 때 쓴다. & 위의 기호는 앤퍼샌드 라고 하며 , 변수의 주소를 활용해야 할 때 사용한다. ** 자료형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이해하기 조금 더 쉬울 수 있다. 자료형의 종류 : https://jostch.tistory.com/160 C 언어) 자료형의 종류 자료형이란? 모든 자료들의 형식을 정하는 것. 자세히 말하자면 자료형은 메모리에서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지 알려주는 일종의 장치이다. 보기전에 알아야 할 것! 컴퓨터의 부호 표현 방법 사람 jostch.tisto..

코드를 보며 이해하자. 실행 결과 - unsigned : 양수형만 사용해서 사용가능한 메모리 크기를 배로 가져갈 수 있음 signed : 양수와 정수 모두 사용가능한 자료형 결과를 보면 unsigned , signed 둘 모두 양수 사용가능하기에 1을 넣었을때에는 출력이 가능하고, 음수는 signed 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unsigned 에는 -1 이 아닌 쓰레기값이, signed 에는 -1 이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부호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signed 는 unsigned 에 비해서 사용 가능한 비트 수가 줄어든다. 반대로 unsigned 는 부호 비트없이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비트 수가 늘어난다. 부호비트란? https://ehpub.co.kr/12-%EB%B6%80%ED%98%B8..

AWS 에는 Kubernetes 와 DOCKER 에서 다루는 컨테이너를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 AWS ECS 는 클러스터에서 컨테이너를 쉽게 다룰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 클러스터는 여러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컴퓨터처럼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 속도가 뛰어남 - 인프라 구축의 복잡성 해소 -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노드 플릿 유지 관리 및 확장에 용이함 - Docker 컨테이너의 실행을 오케스트레이션 할 수 있음 이 서비스는 AWS EC2 에서 사용하는 기능과 통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 Elastic Load Balancing - Amazon EC2 보안 그룹 - Amazon EBS 볼륨 - IAM 역할 AWS ECS 클러스터를..

AWS EC2에 컨테이너를 올려 apache 웹 서버를 구축해 볼 것이다. 먼저 컨테이너를 올릴 EC2 서버를 만들어보자 . AWS EC2 인스턴스 생성 - EC2 운영체제 : Amazon Linux 2 Kernel 5.10 AMI 2.0.20220606.1 x86_64 HVM gp2 64비트 사용 - EC2 서버 유형 : t2.micro 사용 - EC2 보안그룹 : SSH 접속을 위해 SSH 트래픽(22 port) 허용 & 웹 서비스를 위해 HTTP 트래픽(80 port) 허용 - 키 페어 생성 : 새 키 페어 .pem 를 생성 - 생성된 인스턴스 선택, 상단 연결 탭을 눌러 SSH 연결 명령어를 복사 후 .pem 파일 위치에서 실행 1.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 2. 인스턴스 이름 설정..
push 명령어 도커 hub 에 push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docker push 이미지명 단, 이름에 Docker 사이트에서 만든 레포지토리명을 넣어 만든 이미지만 push가 가능하다. ex) docker push repo/image Repository 생성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했다. https://jostch.tistory.com/272 [Docker] docker Repository 생성 방법 사이트를 통한 Repository 생성 먼저 docker 사이트에 접속해준다. https://hub.docker.com/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 We and third parties use cookies..

사이트를 통한 Repository 생성 먼저 docker 사이트에 접속해준다. https://hub.docker.com/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 We and third parties use cookies or similar technologies ("Cookies") as described below to collect and process personal data, such as your IP address or browser information. You can learn more about how this site uses Cookies by reading our privacy policy hub.docker.com 로..

암호학이란 ? (Cryptology) 기밀, 자료 무결성, 사용자 인증, 자료출처 인증 등과 같은 정보보안에 관련된 수학적 기술의 연구로, 자료의 기밀을 인가자가 아닌 사람이 볼 수 없게 하는 것이 목적인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암호 자료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수학적 논리에 의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암호화의 목적 기밀성 : 인가자만 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수동적인 공격에 대해서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사용한다. 무결성 : 특정 정보가 전송 과정에서 변조 또는 재구성 되지 않게 한다. 인증 : 정보나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부인 방지 :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전송 메세지에 대한 분쟁을 방지한다. 암호의 분류 현대에 사용하는 암호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관용 암..

AH00558: 이 오류는 apache2.conf 에 ServerName 이 설정되어있지 않아서 뜨는 오류이다. 해결방법 vi /etc/apache2/apache2.conf /ServerName 를 입력하여 검색한 후, localhost 또는 자신의 IP로 바꾸어주면 된다. 없는 경우에는, 위와같이 새로 입력해주면 해결된다.

- 명령어 설명 Cmp eax, esi 이 명령어는 eax와 esi 의 값을 구분하여 같으면 ZF 플래그를 1로 만드는 명령이다. 점프 명령어인 Jne는 not equal 의 의미로 같지 않을 경우 점프. - 단축키 설명 F2 :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해제 F7 : 한줄실행 (함수 안까지 따라들어가 실행) F8 : 한줄실행 (함수 건너뛰어 실행) F9 : 전체 실행 - 사용 툴 - x32dbg - Writeup! Crack 4 파일은 실행을 시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키파일을 찾는 프로그램으로 보인다. 키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Error 창이 뜨게된다 바로 디버거를 이용하여 열어보자. 바로 F9버튼을 눌러 엔트리 포인트를 찾아 키파일을 확인하는 창을 띄우는 부분을 찾아준다. 메인 코드는 이렇다...

- 명령어 설명 Cmp eax, esi 이 명령어는 eax와 esi 의 값을 구분하여 같으면 ZF 플래그를 1로 만드는 명령이다. 점프 명령어인 je 또한 JUMP EQUAL, 같을경우 점프. - 단축키 설명 F2 :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해제 F7 : 한줄실행 (함수 안까지 따라들어가 실행) F8 : 한줄실행 (함수 건너뛰어 실행) F9 : 전체 실행 - 사용 툴 - x32dbg - Writeup! 먼저 Crack 1 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된다. CD-Rom 을 확인해 뭔가를 하는 프로그램으로 보인다 확인을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이 Error 창이 뜨며 이건 CD-Rom 이 아니라고 한다. X32 디버거를 이용하여 이 프로그램의 구조를 확인해 보자. 실행을 시켜서 확인을 하면 위와 같..